ஃ
17c 네덜란드로 부터 유행한 정물화(still life)는 테이블 위로 화려하게 만개한 꽃, 탐스러운 과일과 재료, 진귀한 소품들을 정교하게 배열하며 그려진 예술 양식으로, 단순히 장식미 만을 추구하지 않았습니다. 정물화 속 시드는 꽃과 사물들은 결국 소멸할 운명을 담아내기에 인생의 덧없음과 유한함을 상징하며, 우리에게 삶의 무상함과 아름다움의 덧없음을 묵상하게 합니다. 결국 이들은 이러한 찰나의 아름다움을 통해 인간 존재의 유한성에 대한 철학적 메시지를 전하는 기록입니다.
이번 전시는 이러한 전통적 정물화의 미학을 작가의 시각으로 재구성한 작품들로 구성됩니다. 평면에 머물던 정물들은 실크플라워, 펠트, 레진등의 소재를 통해 입체적 형태로 다시 태어납니다. 시들지 않는 이 오브제들은 멈춰진 순간을 상징하며, 유한성과 영속성의 경계를 허물고 생명을 닮았으나 생명이 아닌 독특한 존재로 자리합니다. 이를 통해 과거와 현재, 소멸과 지속을 잇는 정물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전시 공간은 정물화가 탄생했던 시대의 공간과 정서를 상상하며 설계되었습니다. 빛과 사물의 배치, 그리고 공간의 정적과 집중을 통해 관객은 과거의 회화적 순간과 현시점의 입체적 해석이 만나는 지점에 설것 입니다. 이번 전시를 통해 멈춰진 시간과 움직이지 않는 생명의 초상 앞에서 자연과 영원, 그리고 각자의 소망과 시간에 대한 새로운 사유와 울림을 경험하길 바랍니다.
Still life painting, which gained popularity in 17th-century Netherlands, is an art form that intricately arranges vibrant flowers in full bloom, luscious fruits and ingredients, and rare objects on a table. These paintings were not created merely for decorative beauty. The withering flowers and objects depicted in still life symbolize the inevitability of decay and the transience of life, inviting us to reflect on the impermanence of existence and the fleeting nature of beauty. Through this ephemeral elegance, still life paintings convey a philosophical message about the finiteness of human existence.
This exhibition reinterprets the aesthetics of traditional still life through the artist's perspective. The still life, previously confined to two-dimensional surfaces, is reborn in three-dimensional forms using materials like silk flowers, felt, and resin. These unwithering objects symbolize moments frozen in time, blurring the boundaries between finiteness and permanence. Resembling life yet devoid of it, they stand as unique entities, bridging the past and the present, decay and continuity, while exploring new possibilities for still life art.
The exhibition space is designed to evoke the atmosphere and sensibility of the era when still life paintings were first conceived. Through the arrangement of light and objects, as well as the tranquility and focus of the space, visitors are positioned at the intersection where the painterly moments of the past meet the three-dimensional interpretations of the present.
We hope this exhibition provides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new contemplations and resonances about nature, eternity, and personal aspirations and time, as you stand before portraits of still time and unmoving life.
Still life _ 시들지 않는 식물의 초상
2024. 12. 12 ~ 12. 15
2024 Craft Trend Fair, Coex C hall 공예공방관
ஃ
17c 네덜란드로 부터 유행한 정물화(still life)는 테이블 위로 화려하게 만개한 꽃, 탐스러운 과일과 재료, 진귀한 소품들을 정교하게 배열하며 그려진 예술 양식으로, 단순히 장식미 만을 추구하지 않았습니다. 정물화 속 시드는 꽃과 사물들은 결국 소멸할 운명을 담아내기에 인생의 덧없음과 유한함을 상징하며, 우리에게 삶의 무상함과 아름다움의 덧없음을 묵상하게 합니다. 결국 이들은 이러한 찰나의 아름다움을 통해 인간 존재의 유한성에 대한 철학적 메시지를 전하는 기록입니다.
이번 전시는 이러한 전통적 정물화의 미학을 작가의 시각으로 재구성한 작품들로 구성됩니다. 평면에 머물던 정물들은 실크플라워, 펠트, 레진등의 소재를 통해 입체적 형태로 다시 태어납니다. 시들지 않는 이 오브제들은 멈춰진 순간을 상징하며, 유한성과 영속성의 경계를 허물고 생명을 닮았으나 생명이 아닌 독특한 존재로 자리합니다. 이를 통해 과거와 현재, 소멸과 지속을 잇는 정물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전시 공간은 정물화가 탄생했던 시대의 공간과 정서를 상상하며 설계되었습니다. 빛과 사물의 배치, 그리고 공간의 정적과 집중을 통해 관객은 과거의 회화적 순간과 현시점의 입체적 해석이 만나는 지점에 설것 입니다. 이번 전시를 통해 멈춰진 시간과 움직이지 않는 생명의 초상 앞에서 자연과 영원, 그리고 각자의 소망과 시간에 대한 새로운 사유와 울림을 경험하길 바랍니다.
Still life painting, which gained popularity in 17th-century Netherlands, is an art form that intricately arranges vibrant flowers in full bloom, luscious fruits and ingredients, and rare objects on a table. These paintings were not created merely for decorative beauty. The withering flowers and objects depicted in still life symbolize the inevitability of decay and the transience of life, inviting us to reflect on the impermanence of existence and the fleeting nature of beauty. Through this ephemeral elegance, still life paintings convey a philosophical message about the finiteness of human existence.
This exhibition reinterprets the aesthetics of traditional still life through the artist's perspective. The still life, previously confined to two-dimensional surfaces, is reborn in three-dimensional forms using materials like silk flowers, felt, and resin. These unwithering objects symbolize moments frozen in time, blurring the boundaries between finiteness and permanence. Resembling life yet devoid of it, they stand as unique entities, bridging the past and the present, decay and continuity, while exploring new possibilities for still life art.
The exhibition space is designed to evoke the atmosphere and sensibility of the era when still life paintings were first conceived. Through the arrangement of light and objects, as well as the tranquility and focus of the space, visitors are positioned at the intersection where the painterly moments of the past meet the three-dimensional interpretations of the present.
We hope this exhibition provides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new contemplations and resonances about nature, eternity, and personal aspirations and time, as you stand before portraits of still time and unmoving life.
2024.12 작가 최은정 드림
LDKB | 대표자 : 최은정 | 주소 : 서울특별시 중구 다산로31길 38-9 아녜스가 303호 | 통신판매신고번호 : 2022-서울중구-0230 | 사업자번호 : 503-36-14434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최은정 | CS : 010-2587-1023 / ldkbstudio@gmail.com | 호스팅 제공자: (주)아임웹 | Copyright © LDKB All rights reserved.